

배터리를 이용해 MFC를 사용하며 동시에 충전하는 실험
우리는 지난시간 HFC-D-302B Digital Mass Flow Contorller 제품을 배터리를 이용해서 작동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위의 실험에 이어 배터리를 충전하고 사용하는 실험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사용중인 배터리 스팩에 대해 알아봅시다 위의 사진은 현재 우리가 사용중인 배터리의 전압(V), 전기량(Ah)등의 스팩입니다. 맨 뒤의 BMS 는 이전 글에 설명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입니다. 배터리의 출력은 12.8 Volt 이며, 3.3 Ampere / Hour 의 전기량을 가집니다. 여기서 3.3 Ah 라는 것은 시간당 3.3 암페어의 전류를 흘릴 수 있다는 것으로, 만약 완충 상태에서 300 mA 의 전류량을 계속 사용한다면 약 11시간 동안 사용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배터리 충전 실험 배터리 충전 실험은 배터리를 완전히 방전시킨 뒤, 충전 시간을 체그하


가전제품의 전압, 전류, 전력 알아보기
우리는 지난시간 배터리를 이용한 MFC 작동 실험 과정에서 전압(V) x 전류(A) = 전력(W) 임을 확인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 제품들을 대상으로 전압, 전류, 전력, 전력량 등을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력량을 구해 봅시다 전력량이란 전력의 사용량을 뜻하며 기본적으로 전기 요금 고지서에서 요금을 측정할 때 사용합니다. 단위는 와트시(Watt-hour - Wh) 또는 킬로 와트시(Kilo Watt-hour - kWh) 를 사용하며, 계산 방법은 전력(Watt) x 시간(hour) 입니다. 위에 전력은 전압 x 전류 라고 했으니, 전력량의 계산법은 전압(V) x 전류(A) x 시간(h) 이 되는 것입니다. 그럼 이제 가전제품의 전원 공급 요구사항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1. 냉장고 위의 사진은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냉장고의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표 입니다. 저 정보를 이용해 냉장고의 전압, 전류, 전력 등을 계산해 보도록 하


전압에 대해 알아봅시다
전기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도 전압, 전류 정도는 언젠가 과학시간에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220 볼트를 사용한다' 정도만 알고 전자제품의 플러그만 콘센트에 꽂거나 건전지를 사이즈와 모양으로만 구분하는 필자와 같은 과학 알러지를 가진 분들을 위해 이번시간에는 전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왜 전압의 단위로 볼트를 쓸까? 볼트라는 단위는 1745년 이탈리아 코모에서 출생한 물리학자 알레산드로 볼타(Alessandro Giuseppe Antonio Anastasio Volta) 에서 따온 것입니다. 볼타는 1800년 볼타의 열전기더미를 고안하여 처음으로 화학작용에 의한 전류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건전지의 발명이며, 그 후 전기현상 연구에 큰 공헌을 하여 전압의 단위에 그에 이름을 따와 Volt 라는 단위를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전압이란? 전압은 '220 볼트' 할때 볼트를 단위로 사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