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TP, SATP, NTP란 무엇인가?

  • 인포라드 인턴
  • 2018년 11월 9일
  • 1분 분량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엔 STP, SATP, NP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용어만 보면 생소해 보일지 모르지만, 용어를 풀어 단어 하나하나를 보면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단어들

이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 용어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물질이 존재 한다고 가정하고, 이 물질의 열역학량 정의를 내리기 위해 표준 상태를 정해야 합니다.

그 표준 상태를 표준 온도 압력이라 부릅니다.

표준 온도 압력은 말 그대로 온도와 압력만을 가지고 기준을 잡는것이며,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그중에 대표적인 것 몇개만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STP(Standard Temperature and Pressure) : 온도 0℃ (273.15 K(절대온도)), 기압 1 atm (101325 Pa)

SATP(Standard Ambient Temperature and Pressure) : 온도 25℃ (298.15 K(절대온도)), 기압 1 bar (100000 Pa)

NTP(Normal Temperature and Pressure) : 온도 20℃ (293.15 K(절대온도)), 기압 1 atm, and 상대습도 65%

보통 이렇게 3개의 경우가 많이 쓰입니다.

예를 들어 기체유량 질소 1SML의 SATP 이다. 그럼 질소 1SLM을 온도 25℃ (298.15 K), 기압 1 bar

(100000 Pa)의 상태에서 측정을 했다는 말입니다.

또한 위의 3가지 표준 온도 압력중에서 SATP가 널리 쓰이는 편입니다.

이상으로 STP, SATP, NTP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ED%91%9C%EC%A4%80_%EC%98%A8%EB%8F%84_%EC%95%95%EB%A0%A5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ilove71&logNo=220405597997&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http://chemdb.tistory.com/16

https://www.know.cf/enciclopedia/ko/%ED%91%9C%EC%A4%80_%EC%98%A8%EB%8F%84_%EC%95%95%EB%A0%A5


 
 
 

Comments


카테고리

bottom of page